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시니어가 자녀에게 바라는 용돈 액수는?

by 정보는왕 2025. 7. 4.

시니어 세대인 부모가 자녀에게 바라는 정기 용돈(월별)기념일별 특별 용돈 기대 금액을 지금까지 각종 조사 자료를 근거로 구체적으로 한번 알아볼게요. 참조하세요.

 

시니어가 자녀에게 바라는 용돈 액수는?


1. 정기적인 용돈 기대 금액

연령대 경제수준 기대 용돈 비고
60대 기초연금+자산 있음 10만~20만 원 생계보다 관계 유지 목적이 큼
  기초생활수급/무자산 20만~40만 원 의료비·식비 부담, 실질적 생계 목적
70대 기초연금+자산 있음 5만~15만 원 금전보다 관심 표현 중시
  기초생활수급/무자산 15만~30만 원 생활필수비 보충 목적
80대~ 자산별로 없음 10만~20만 원 건강·병원비 부담 큼
전체 평균 모든 계층 평균 약 20만 원 전후 대부분 자녀 1~2명 기준

※ 자녀가 2명일 경우 각 10만 원, 1명일 경우 20만 원 이상을 기대하는 경향


2. 특별한 날에 바라는 용돈 액수

특별한 날 기대 금액 기대 항목 비고
어버이날 10만~30만 원 현금 + 카네이션/외식 가장 기대가 큰 날, 가족 행사로 여김
생신 10만~20만 원 외식비 + 용돈 선물보다 함께 식사/케이크 등 포함
설날 10만~20만 원 귀향비, 생활비 명목 세뱃돈 개념으로 자녀 성의 중시
추석 10만~20만 원 전통음식 재료비, 명절비 명절 인사+생활보조 기대
어버이 결혼기념일 5만~10만 원 외식 또는 작지만 의미 있는 선물 자녀가 기억해주기만 해도 만족

어버이날이 평균적으로 가장 기대액이 높으며, 생신과 명절(설·추석)은 비슷한 수준
♡실물 선물보다 “현금+관심 표현(전화/문자/함께 식사)”을 중요시 함


3. 부모의 실제 목소리 예시 (설문/심층면접 기반)

연령대 실제응답 사례
60대 “딱히 큰돈은 안 바라고, 한 달에 20만 원 정도면 병원비나 약값 정도는 돼요.”
70대 “매달 10만 원이라도 챙겨주는 마음이 고맙죠. 잊지 않고 전화해주면 더 좋아요.”
80대 “선물보다는 현금이 좋아요. 제일 필요한 건 생활비와 병원비라서요.”
전 연령대 공통 “명절이나 어버이날 때는 외식 같이 하거나 손자들 보는 게 가장 좋아요.”

이상을 요약 정리하면

구분 기대 금액 비고
월 고정 용돈 15만~25만 원 1~2자녀 기준, 정서적 연결
어버이날 20만~30만 원 가장 기대하는 날, 선물+외식 포함
생신 10만~20만 원 식사 + 용돈
설/추석 각 10만~20만 원 세뱃돈, 귀향비 개념
기타 기념일 5만~10만 원 챙겨주는 성의 자체가 더 중요

※ 출처 및 근거 자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고령자 삶의 질 및 실태조사 2023》
  • KB금융 《2022 시니어 금융생활 보고서》
  • 통계청 고령자 경제활동 통계
  • 한겨레·리서치뷰 공동 설문조사 (2023)
  • 시니어 커뮤니티 및 유튜브 설문 응답 모음 (실버넷·브런치·네이버 시니어카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