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시니어 월생활비 얼마? 어떻게 충당?

by 정보는왕 2025. 6. 29.

우리나라 시니어(만 65세 이상)의 월 생활비 수준과 그 충당 방법을 통계자료와 관련 보고서 등을 통해  정리하면 아래와 같으며, 참고 부탁드릴게요.

 

시니어 월생활비 얼마? 어떻게 충당?


1. 시니어 월 생활비 평균 (2024년 기준)

구분 1인 가구 2인 가구
월 평균 생활비 약 127만원 약 220만원
기초생활비(최저생계 수준) 60~90만원 120~150만원
적정생활비(중위수준 생활) 150~180만원 250~300만원
  • 수도권은 더 높은 생활비가 필요함 (주거비 등 영향)
  • 통계청 및 보건복지부 자료 근거

2. 시니어 생활비 충당 비율

소득원 설명 비율
공적 연금 국민연금, 기초연금, 공무원연금 등 33%
근로소득 노년 일자리, 알바, 자영업 등 24%
사적연금 개인연금, 퇴직연금, 보험 등 11%
자산소득 임대수익, 이자, 배당 등 8%
가족 지원 자녀 용돈, 지원금 등 16%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주거급여, 의료급여 등 8%
기타 복지쿠폰, 지역사회 지원 등 1%

※ 출처: 국민연금공단·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종합 보고서


3. 주요 소득원별 구체적인  월수령액

소득원 세부내용 평균 수령액 비고
국민연금 일반가입자 약 60~70만원 고액 수급자는 200만원 이상
기초연금 만65세이상 소득하위70% 약 32.3만원 (2024년) 부부합산 시 조정 가능성
공무원/사학/군인연금 퇴직자 대상 250만원 이상 고령층 중 일부만 해당
근로소득 노인일자리, 경비, 청소 등 평균 40~70만원 건강 상태 따라 편차 큼
개인/퇴직연금 연금저축, IRP 등 평균 20~40만원 준비된 경우에만 수령
임대수익 상가·주택 등 보유 자산 50~200만원 보유 자산 수준에 따라 차이 큼
이자·배당 금융소득 10~100만원 고자산가 중심
가족지원 자녀 지원금 10~50만원 감소 추세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등 생계급여 약 70~110만원 수급자 대상

4. 생활비 지출 항목별 비중 (1인 평균)

지출항목 비중 월평균금액 비고
식비 30% 약 38만원 식사 포함, 외식 일부
주거비 20% 약 25만원 월세, 관리비, 전기세 등
의료비 15% 약 19만원 약값, 병원비 등
교통비 8% 약 10만원 대중교통, 택시 등
통신비 6% 약 8만원 휴대폰, 인터넷
경조사 5% 약 6만원 자녀·손주 생일, 명절 등
문화 4% 약 5만원 여행, 취미 등
기타 12% 약 16만원 보험료, 의류, 생활용품 등

5. 유형별 월생활비 충당 예시(1인 평균)

유형 특징 생활비 충당방식
A. 국민연금+기초연금형
(중산층 이하)
연금 이외 별다른 소득 없음 90~100만원 연금으로 기본생활비만 충당
B. 근로+기초연금형
(근로노인)
노인일자리/청소·경비직 근로 100~140만원 근로소득 + 기초연금
C. 연금+자산소득형
(중산층 이상)
개인연금, 퇴직연금, 임대소득 150~300만원 안정적 자산소득 기반
D. 고소득 자산가형  임대, 이자, 배당, 사적연금 등 300만원 이상 다양한 소득 기반
E. 가족 의존형
(고령,질병 등)
수입 거의 없고 자녀 의존 30~70만원 기초생활수급자, 자녀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