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시니어 국민연금 수령액 얼마?

by 정보는왕 2025. 6. 27.

최근(2024~2025년) 연령대별·지역별 국민연금 노령연금 월평균 수령액을 국민연금공단의 월별‧지역별 지급통계(2024.10 공시), 통계청 2022 <연금통계〉및 주요 언론에 보도된 내용을 토대로 하되, 공식으로 공표되지 않은 연령별, 지역별값은 국가통계 방식(가중치 환산)으로 보정하여 실제 행정통계와  1~3 %정도 오차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 부탁드려요.

 

시니어 국민연금 수령액

 

1. 연령대별 국민연금 월평균 수령액 

연령 60~64 65~69 70~74 75~79 80이상
월평균(만원) 50.2 75.9 67.1 60.4 51.5
  • 2024년말 기준으로, 60-64세는 조기노령·부분수급 비중이 커 평균이 가장 낮음
  • 65-69세가 ‘베이비붐 세대(1955~60년생)’ 본격 진입으로 최고액을 기록함

2. 전체연령 월평균 수령액 순위

순위 시,도 월평균(원) 특징
울산 747,000 조선·자동차 대기업 장기 재직자 많음
세종 604,000 공무원 퇴직자 비중 높음
서울 603,000 강남 3구 고액 수급자가 평균 견인
경기 589,000 제조업·IT 장기 가입자
인천 571,000 정유·항만 산업 집중
13 충북 525,000 농업·중소제조 중심
14 경북 511,000 지역가입자 비중 높음
15 제주 501,000 관광서비스, 현장직 다수
16 전북 494,000 고령 농업‧영세 사업자 다수
17 전남 483,000 특례노령(10년 미만 가입) 의존

전국 평균 : 618,000원 (노령·유족·장애연금 포함)


3. 연령별 지역별 수령액 추정

시,도 65~69세 70~74세 75~79세 80세이상
울산 87.1만원/월 77.0 69.3 59.1
서울 70.4 62.2 56.0 47.8
경기 68.8 60.8 54.7 46.7
인천 66.7 58.9 53.1 45.2
세종 70.5 62.4 56.1 47.9
전남 56.4 49.9 44.9 38.3

계산 방법
① 시‧도 전체 평균(§2) × ② 연령대별 전국 대비 계수(예: 65-69세 = 1.17) → 추정치.
실제 지급액과 ±2~3 만원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4. 성별 수령액

구분 남성 여성 성별 비교
월평균(65세~) 842,000원 486,000원 남성이 1.7배 높음
  • 가입기간 20년 이상 수급자는 전국 평균보다 42 % 가 많은 107만원을 받고 있음
  • 10년 미만 ‘특례노령’ 수급자는 평균 34만 원 안팎으로, 지역격차보다 가입기간 효과가 더 큼

5. 분석 및 활용 팁

  1. 산업구조·소득수준이 높은 지역(울산·서울 강남권)이 연금액도 가장 높음
  2. 60대 후반(65-69) 세대가 가입기간·소득이 모두 늘어나면서 향후 5년간 전국 평균을 크게 끌어올릴 가능성 큼
  3. 여성·농촌 거주 고령층은 평균 40 만 원대에 머물러 기초연금 의존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보임
  4. 가입기간 20년 미만 장년층(특히 여성·자영업자) 추납이나 임의계속가입 유도 필요
  5. 개인적으로는 우선 순위로 보면,  ① 가입기간 최대화(추납·연기연금), ② 기초연금 중복 활용, ③ 퇴직·개인연금으로 부족분 보완 전략최선의 방안으로 분석되며, 각 상황과 여건에 따라 활용을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