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시니어 순자산은 얼마?

by 정보는왕 2025. 6. 27.

 

시니어 순자산 현황

 

1. 연령별 평균 순자산과 구성비

연령대 순자산 부동산 자산 금융 자산 부동산비율
60대 5 억 2천만원 4 억 2천만원 9,700만원 81 % 
70대 4 억 5천만원 3 억 6천만원 9,400마눤 79 %
80세 이상 3 억 7천만원(추정) 2 억 7천만원 (추정) 1 억 4백만원(추정) 72 %

60대가 생애 순자산 피크로 이후 의료·상속·소비로 감소. 금융자산 비중은 고령일수록 소폭 증가됨


2. 연령, 지역별 가구당 평균 순자산  

연령대 서울 경기 5대광역시 비수도권
60대 7.3억원 6.3억원 4.7억원 3.8억원
70대 6.4억원 5.5억원 4.1억원 3.4억원
80세+ 5.2억원 4.5억원 3.4억원 2.7억원

계산법 : (해당 연령 전국 순자산) × (지역 전체 순자산 ÷ 전국 전체 순자산)으로, 약 3~5 % 오차 상존


3. 연령, 지역별 부동산/금융 구성

연령대 서울 수도권 5대 광역시
60대 82 % / 18 % 78 % / 22% 80% / 20%
70대 80%  /  20% 76% / 24% 78% / 22%
80세 이상 73%  /  27% 70% / 30% 70% / 30%

※ 주요 특징

  • 부동산 편중은 서울 > 광역시 > 도 지역 순으로 높은데, 80대부터 주택 처분·금융화가 진행되면서 비중이 다소 낮아짐
  • 수도권 60대는 전국 평균보다 금융 축적도(예·적금·주식 등)가 높지만, 여전히 현금성 비율 20 % 안팎
  • 비수도권 도 지역 70·80대는 금융자산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 보이나 절대액(7 천만~1 억 원 수준)이 작아 유동성 우려

4. 통계에서 의미를 찾는다면

  1. ‘집 한 채-집값’ 의존
    • 모든 연령·지역에서 순자산의 최소 70 %가 부동산. 현금흐름(연금·이자)에 영향을 크게 받음.
  2. 지역 격차 심화
    • 같은 60대여도 서울 7 억 + vs 도지역 3.8 억 → 약 1.9배. 주택가격 차이가 핵심.
  3. 고령 금융 취약층
    • 70대 이상ㆍ도지역 가구는 금융자산이 5천만~8천만 원대에 그쳐 의료·간병비 충격에 취약.
  4. 정책·실천 포인트
    • 주택연금·리스백 등 ‘부동산→연금화’ 장치 확대.
    • 장수·간병 위험 대비 연금저축·보험 추가 확보 권장.

 

※ 통계 데이터 출처

  • 통계청·한국은행·금감원 〈2024 가계금융 · 복지조사〉 부록 통계표(‘24. 12. 9 공표)
  • 통계청 〈고령자통계〉(2024판) – 65세 이상 가구 자료
  • 통계청 지역통계 보도(대구 등)·주요 일간지 요약 기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