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3

국민연금 200만원 수령자 특성은? 국민연금 수령자의 1%도 안되는(0.7%정도) 국민연금 월 200만 원 이상 수령자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여 연령별, 지역별, 연도별 추이, 납입 특성 등을 아래와 같이 알려 드립니다. 연금 계획 시 참조하시기 바랄게요. 1. 국민연금 월 200만원 이상 수령자 개요전체 수령자 수약 4만 9,374명 (2024년 11월 기준)전체 수급자 대비전체 699만 명 중 약 0.7% 수준성별 비율남성 98.2%, 여성 1.8%평균 수급액고액 수령자는 평균 205만 원~230만 원대주요 원인장기 가입(35년 이상), 고소득 기준 납입, 물가연동2. 연령별 분포 (출생연도 중심)연령대(만)수령자 수(명)비율(4.9만명 대비)59세 이하220.0 %60 – 61세1260.3 %62 – 64세6 07812.3 %65 – .. 2025. 6. 27.
시니어 국민연금 수령액 얼마? 최근(2024~2025년) 연령대별·지역별 국민연금 노령연금 월평균 수령액을 국민연금공단의 월별‧지역별 지급통계(2024.10 공시), 통계청 2022 1. 연령대별 국민연금 월평균 수령액 연령60~6465~6970~7475~7980이상월평균(만원)50.275.967.160.451.52024년말 기준으로, 60-64세는 조기노령·부분수급 비중이 커 평균이 가장 낮음65-69세가 ‘베이비붐 세대(1955~60년생)’ 본격 진입으로 최고액을 기록함2. 전체연령 월평균 수령액 순위순위시,도월평균(원)특징①울산747,000조선·자동차 대기업 장기 재직자 많음②세종604,000공무원 퇴직자 비중 높음③서울603,000강남 3구 고액 수급자가 평균 견인④경기589,000제조업·IT 장기 가입자⑤인천571,000.. 2025. 6. 27.
시니어 순자산은 얼마? 1. 연령별 평균 순자산과 구성비연령대순자산부동산 자산금융 자산부동산비율60대5 억 2천만원4 억 2천만원9,700만원81 % 70대4 억 5천만원3 억 6천만원9,400마눤79 % 80세 이상3 억 7천만원(추정)2 억 7천만원 (추정)1 억 4백만원(추정)72 %60대가 생애 순자산 피크로 이후 의료·상속·소비로 감소. 금융자산 비중은 고령일수록 소폭 증가됨2. 연령, 지역별 가구당 평균 순자산 연령대서울경기5대광역시비수도권60대7.3억원6.3억원4.7억원3.8억원70대6.4억원5.5억원4.1억원3.4억원80세+5.2억원4.5억원3.4억원2.7억원계산법 : (해당 연령 전국 순자산) × (지역 전체 순자산 ÷ 전국 전체 순자산)으로, 약 3~5 % 오차 상존3. 연령, 지역별 부동산/금융 구성연령대.. 2025. 6. 27.
개인연금의 전략적 수령 방법 개인연금(연금저축·IRP) 수령 시 세금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는 최적의 수령 전략 계획을 잡는게 매우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세율과 한도를 사전에 파악하고, 수령 시점, 수령 금액, 수령 방식을 전략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그 핵심이라 할 수 있어요. 1. 수령 연령별 연금소득세 세율55세 이상 ~ 70세 미만: 5.5% 70세 이상 ~ 80세 미만: 4.4%80세 이상 ~ : 3.3% → 전략: 경제적 여력이 있다면 수령 시점을 최대한 늦출수록 세율 유리하나, 가구내 자금 운용계획 고려 필요2. 연간 수령액 조절로 저율 과세 활용1,500만 원 이하: 저율 분리과세(3.3~5.5%)1,500만 원 초과:분리과세 16.5% 적용하거나종합과세 선택 가능 (6.6~49.5%) →.. 2025. 6. 19.
개인연금(연금저축, IRP) 가입 방법과 납입 혜택 이미 가입시기가 지난 분들이 많은 시니어분께는 직접적인 도움은 덜 될 수 있겠지만, 자녀나 손주분께 도움이 되고 여기 방문하시는 많은 청장년층에게도 도움이 되는 개인연금(연금저축 & IRP)에 대하여 알려 드리고자 합니다. 잘 아시다시피 개인연금은 공적연금인 국민연금에 추가하여 노후 자산을 스스로 준비하는 사적 연금으로, 가입 방법과 납입 시 제공되는 혜택을 항목별로 정리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랄게요. 1. 개인연금이란?정의개인이 은퇴 후 안정적 소득 확보를 위해 자발적으로 가입하는 장기 금융상품으로, 국민연금 및 퇴직연금으로도 부족할 수 있는 노후 자금을 보완하는 상품연금저축: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신탁 등IRP(개인형퇴직연금): 퇴직금과 개인 납입금을 운용하여 55세 이후 .. 2025. 6. 19.
만65세가 되면 만나는 복지 혜택 우리나라는 만 65세 이상 어르신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복지 혜택들이 있습니다. 이를 알기쉽게 항목별로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정리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알려드립니다. 놓치는 것 없이 신청하여 최대한 혜택을 받으세요. 1. 기초연금대상: 65세 이상, 소득 하위 70%금액: 월 최대 약 34만 원 (단독가구), 54만원(부부가구, 2025년 기준) 신청처: 생일이 속한 월 1개월 전부터 주민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수령조건: 공적연금 및 소득·재산 기준 충족 필요2. 의료·보건 지원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시 평생 2개, 본인 부담 30% (차상위·수급자는 5~20% 부담) 틀니: 7년 주기 1악당, 본인 부담 30% (※1악당 : 상악(위턱) 또는 하악(아래턱) 한쪽 전체 틀니)예방접종: 폐렴구균, 독감.. 2025. 6.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