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활정보52

시니어가 자녀에게 바라는 용돈 액수는? 시니어 세대인 부모가 자녀에게 바라는 정기 용돈(월별) 및 기념일별 특별 용돈 기대 금액을 지금까지 각종 조사 자료를 근거로 구체적으로 한번 알아볼게요. 참조하세요. 1. 정기적인 용돈 기대 금액연령대경제수준기대 용돈비고60대기초연금+자산 있음10만~20만 원생계보다 관계 유지 목적이 큼 기초생활수급/무자산20만~40만 원의료비·식비 부담, 실질적 생계 목적70대기초연금+자산 있음5만~15만 원금전보다 관심 표현 중시 기초생활수급/무자산15만~30만 원생활필수비 보충 목적80대~자산별로 없음10만~20만 원건강·병원비 부담 큼전체 평균모든 계층 평균약 20만 원 전후대부분 자녀 1~2명 기준※ 자녀가 2명일 경우 각 10만 원, 1명일 경우 20만 원 이상을 기대하는 경향2. 특별한 날에 바라는 용돈 액.. 2025. 7. 4.
임대아파트 입주조건 & 임대료는? 임대아파트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LH(한국토지주택공사), SH(서울주택도시공사) 등이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으로, 소득이 낮은 계층이나 주거 취약 계층의 주거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되며, 아래에 임대아파트의 종류별 입주 조건과 임대료를 정리해 드릴게요. 1. 임대아파트 유형별 입주 조건유형입주대상소득기준자산기준비고영구임대주택생계·의료급여 수급자, 국가유공자, 한부모가정 등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70% 이하총자산 3.29억원 이하, 자동차 3,557만원 이하무주택 세대구성원국민임대주택저소득층, 청년, 신혼부부, 고령자 등도시근로자 평균소득의 50~70% 이하 (가구 유형에 따라 상이)총자산 3.29억원 이하, 자동차 3,557만원 이하무주택 세대구성원행복주택대학생, 청년, 신혼부부,.. 2025. 7. 3.
시니어 월생활비 얼마? 어떻게 충당? 우리나라 시니어(만 65세 이상)의 월 생활비 수준과 그 충당 방법을 통계자료와 관련 보고서 등을 통해 정리하면 아래와 같으며, 참고 부탁드릴게요. 1. 시니어 월 생활비 평균 (2024년 기준)구분1인 가구2인 가구월 평균 생활비약 127만원약 220만원기초생활비(최저생계 수준)약 60~90만원약 120~150만원적정생활비(중위수준 생활)약 150~180만원약 250~300만원수도권은 더 높은 생활비가 필요함 (주거비 등 영향)통계청 및 보건복지부 자료 근거2. 시니어 생활비 충당 비율소득원설명비율공적 연금국민연금, 기초연금, 공무원연금 등약 33%근로소득노년 일자리, 알바, 자영업 등약 24%사적연금개인연금, 퇴직연금, 보험 등약 11%자산소득임대수익, 이자, 배당 등약 8%가족 지원자녀 용돈, 지.. 2025. 6. 29.
투자별 세금 한번에 알아보기 1. 과세 구조 한번에 요약투자수단과세시점한국세금미국세금비고(주의사항)국내 상장 주식 (코스피‧코스닥)매도·배당• 거래세 0.15 %• 배당 15.4 %(원천징수) • 양도세 없음(소액주주) ―금융소득 종합과세(이자·배당 합계 2천만원 이상) 국내 상장 국내 ETF매도X, 분배금• 매매차익 비과세 (거래세만) • 분배금 15.4 % 배당소득세―배당 합산 시 2천만원 이상 종합과세국내 상장 해외 ETF (미국‧글로벌 지수, 커버드콜 등)매도·분배금매매차익·분배금 모두 15.4 % 배당소득세(펀드 내부에서 이미 15 % 美원천징수 후 유입)‘배당소득’으로 잡혀 금융소득 합산해외(미국) 상장 ETF / 개별주식매도·배당• 양도차익 : 연 250 만 원 공제 후 22 % (지방세포함) • 배당 : 전액 종합소.. 2025. 6. 28.
국민연금 200만원 수령자 특성은? 국민연금 수령자의 1%도 안되는(0.7%정도) 국민연금 월 200만 원 이상 수령자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여 연령별, 지역별, 연도별 추이, 납입 특성 등을 아래와 같이 알려 드립니다. 연금 계획 시 참조하시기 바랄게요. 1. 국민연금 월 200만원 이상 수령자 개요전체 수령자 수약 4만 9,374명 (2024년 11월 기준)전체 수급자 대비전체 699만 명 중 약 0.7% 수준성별 비율남성 98.2%, 여성 1.8%평균 수급액고액 수령자는 평균 205만 원~230만 원대주요 원인장기 가입(35년 이상), 고소득 기준 납입, 물가연동2. 연령별 분포 (출생연도 중심)연령대(만)수령자 수(명)비율(4.9만명 대비)59세 이하220.0 %60 – 61세1260.3 %62 – 64세6 07812.3 %65 – .. 2025. 6. 27.
시니어 국민연금 수령액 얼마? 최근(2024~2025년) 연령대별·지역별 국민연금 노령연금 월평균 수령액을 국민연금공단의 월별‧지역별 지급통계(2024.10 공시), 통계청 2022 1. 연령대별 국민연금 월평균 수령액 연령60~6465~6970~7475~7980이상월평균(만원)50.275.967.160.451.52024년말 기준으로, 60-64세는 조기노령·부분수급 비중이 커 평균이 가장 낮음65-69세가 ‘베이비붐 세대(1955~60년생)’ 본격 진입으로 최고액을 기록함2. 전체연령 월평균 수령액 순위순위시,도월평균(원)특징①울산747,000조선·자동차 대기업 장기 재직자 많음②세종604,000공무원 퇴직자 비중 높음③서울603,000강남 3구 고액 수급자가 평균 견인④경기589,000제조업·IT 장기 가입자⑤인천571,000.. 2025. 6.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