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42

장애연금의 모든 것 이번에는 국민연금법상 장애연금에 대하여 항목별로 자세히 구분하여 정리한 내용이니, 참조하세요.※ 장애연금과 다르게 "장애인연금"이 있는데, 이는 복지부 소관 무기여 연금이고, 위에서 말한 "장애연금"은 국민연금 가입자에게 발생하는 소득보장 성격의 유급 장애연금입니다. 1. 장애연금 항목별 정리구분내용1. 제도 개요국민연금 가입자가 질병이나 부상으로 장애가 남았을 때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지급되는 연금. 근로 능력 상실에 대한 소득보장 성격의 유급 장애급여.2. 수급 요건- 초진일 당시 가입자여야 함- 초진일 기준 최근 5년 중 3년 이상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 장애 정도가 1급~3급에 해당해야 함3. 지급 대상 연령만 18세 이상 ~ 만 60세 미만 (가입자 기준)※ 단, 수급은 평생 가능4. 장애등급.. 2025. 7. 8.
실버타운 총망라 시니어분를 위한 주거와 복지, 의료 서비스가 결합된 전용 주거시설인 실버타운에 대하여, 종류, 입주 조건, 보증금, 월세 및 특징 등전체적인 것을 알아볼게요. 참고 부탁드려요. 1. 실버타운 종류 및 특징구분운영주체특징대상자비고민간형 (고급형)민간기업 (건설사, 병원 등)고급 편의시설 + 의료서비스 중심자산·소득 상위층더클래식500, 삼성노블카운티공공형 (LH 등)정부, LH공사, 지자체임대 위주, 저소득층 지원중·저소득 고령자LH공공 실버타운, 시니어임대주택종교/사회복지형종교재단, 사회복지법인신앙/공동체 생활 중심, 의료보조종교인, 중산층실버스텔라, 성요셉의 집 등병원연계형종합병원, 요양병원의료서비스 최우선중증질환자 포함분당서울대병원 실버타운 등 2. 실버타운 입주 조건구분내용연령 요건일반적으로 만 6.. 2025. 7. 5.
시니어가 자녀에게 바라는 용돈 액수는? 시니어 세대인 부모가 자녀에게 바라는 정기 용돈(월별) 및 기념일별 특별 용돈 기대 금액을 지금까지 각종 조사 자료를 근거로 구체적으로 한번 알아볼게요. 참조하세요. 1. 정기적인 용돈 기대 금액연령대경제수준기대 용돈비고60대기초연금+자산 있음10만~20만 원생계보다 관계 유지 목적이 큼 기초생활수급/무자산20만~40만 원의료비·식비 부담, 실질적 생계 목적70대기초연금+자산 있음5만~15만 원금전보다 관심 표현 중시 기초생활수급/무자산15만~30만 원생활필수비 보충 목적80대~자산별로 없음10만~20만 원건강·병원비 부담 큼전체 평균모든 계층 평균약 20만 원 전후대부분 자녀 1~2명 기준※ 자녀가 2명일 경우 각 10만 원, 1명일 경우 20만 원 이상을 기대하는 경향2. 특별한 날에 바라는 용돈 액.. 2025. 7. 4.
임대아파트 입주조건 & 임대료는? 임대아파트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LH(한국토지주택공사), SH(서울주택도시공사) 등이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으로, 소득이 낮은 계층이나 주거 취약 계층의 주거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되며, 아래에 임대아파트의 종류별 입주 조건과 임대료를 정리해 드릴게요. 1. 임대아파트 유형별 입주 조건유형입주대상소득기준자산기준비고영구임대주택생계·의료급여 수급자, 국가유공자, 한부모가정 등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70% 이하총자산 3.29억원 이하, 자동차 3,557만원 이하무주택 세대구성원국민임대주택저소득층, 청년, 신혼부부, 고령자 등도시근로자 평균소득의 50~70% 이하 (가구 유형에 따라 상이)총자산 3.29억원 이하, 자동차 3,557만원 이하무주택 세대구성원행복주택대학생, 청년, 신혼부부,.. 2025. 7. 3.
시니어 월생활비 얼마? 어떻게 충당? 우리나라 시니어(만 65세 이상)의 월 생활비 수준과 그 충당 방법을 통계자료와 관련 보고서 등을 통해 정리하면 아래와 같으며, 참고 부탁드릴게요. 1. 시니어 월 생활비 평균 (2024년 기준)구분1인 가구2인 가구월 평균 생활비약 127만원약 220만원기초생활비(최저생계 수준)약 60~90만원약 120~150만원적정생활비(중위수준 생활)약 150~180만원약 250~300만원수도권은 더 높은 생활비가 필요함 (주거비 등 영향)통계청 및 보건복지부 자료 근거2. 시니어 생활비 충당 비율소득원설명비율공적 연금국민연금, 기초연금, 공무원연금 등약 33%근로소득노년 일자리, 알바, 자영업 등약 24%사적연금개인연금, 퇴직연금, 보험 등약 11%자산소득임대수익, 이자, 배당 등약 8%가족 지원자녀 용돈, 지.. 2025. 6. 29.
투자별 세금 한번에 알아보기 1. 과세 구조 한번에 요약투자수단과세시점한국세금미국세금비고(주의사항)국내 상장 주식 (코스피‧코스닥)매도·배당• 거래세 0.15 %• 배당 15.4 %(원천징수) • 양도세 없음(소액주주) ―금융소득 종합과세(이자·배당 합계 2천만원 이상) 국내 상장 국내 ETF매도X, 분배금• 매매차익 비과세 (거래세만) • 분배금 15.4 % 배당소득세―배당 합산 시 2천만원 이상 종합과세국내 상장 해외 ETF (미국‧글로벌 지수, 커버드콜 등)매도·분배금매매차익·분배금 모두 15.4 % 배당소득세(펀드 내부에서 이미 15 % 美원천징수 후 유입)‘배당소득’으로 잡혀 금융소득 합산해외(미국) 상장 ETF / 개별주식매도·배당• 양도차익 : 연 250 만 원 공제 후 22 % (지방세포함) • 배당 : 전액 종합소.. 2025.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