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국민연금 완납 후 임의가입 따져보기

by 정보는왕 2025. 7. 26.

만60세에 국민연금 납부가 완료되면, 수령 시까지 몇년의 공백기간이 있는데, 이 기간동안 임의가입을 통해 연금액을 증액해야 할지 아닐지를 결정함에 있어서, 국민연금의 A와 B값을 고려하여, 정상 기준연금 월100만원 조건을 가정하여, 가입 여부 결정과 가입 시 어떤 경우가 최적의 조건인지 상대적인 비교를 통해 정성적으로 한번 살펴볼게요. 임의가입 시 참조하세요. 

 

1. A, B값이란 무엇인가?

  ▶ A값 (전체가입자 평균소득)

  • A값은 연금 수급직전 3년간 전체 국민연금 가입자의 월평균 소득임
  • A값은 소득재분배기능을 담당하며, 저소득자에게 더 많은 연금혜택 역할을 함
  • A값은 매년 변동되며, 2025년 기준 3,089,062원임.

  ▶ B값 (본인 가입기간 월평균소득)

  • B값은가입자 본인의 가입기간 동안의 월평균소득을 현재가치로 환산한 값임.
  • B값이 높을수록 연금수령액의 비율이 높음
  • 임의가입을 통해 B값을 높이는 것이 연금 증액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

2. 각 조건별 연금 증액 및 효율 분석

연금
가입
기간
임의
가입
기간

납입액
연금증액
절대치
납입액
대비
연금증액
효율
연금증액효율(수익률) 분석
10년 1년 9만원 낮음 매우 높음 소액으로 단기간 증액. 효율성은 최고, 증액은 작음
    18만원 중간 높음 증액은 적당하고 효율성은 양호
    27만원 중간 증액은 크지만 효율은 상대적으로 낮아짐. 
10년 3년 9만원 중간 높음 안정적인 중기 전략, 소액으로도 증액 효과 누림
    18만원 중상 높음 납입액 대비 효율적 증액. 증액과 효율이 균형
    27만원 중간 납입액이 크고 효율성은 낮지만 큰 연금 증액 효과
10년 5년 9만원 중간 낮은 월 납입으로 5년 동안 안정적 증액
    18만원 매우 큼 중간 중간 월 납입 시 증액 효과 우수. 효율성은 약간 낮아짐
    27만원 최대 낮음 총 연금 증액은 가장 크나 효율성은 가장 낮음
20년 1년 9만원 중간 매우 높음 1년 납입으로 빠른 증액 효과를 얻을 수 있음
    18만원 매우 큼 중간 1년 납입의 빠른 증액과 효율성 좋은 조합
    27만원 매우 큼 중간 큰 납입으로 연금 증액 효과 크지만 효율은 떨어짐
20년 3년 9만원 매우 큼 높음 중기 납입으로 효율적 증액 가능, 이상적 조합
    18만원 매우 큼 높음 납입액 증가와 함께 효율과 증액 균형이 좋음
    27만원 매우 큼 중간 큰 연금 증액을 얻을 수 있지만 효율은 다소 감소
20년 5년 9만원 매우 큼 중간 소액 납입으로 5년 간 꾸준한 증액. 효율성 유지
    18만원 매우 큼 중간 5년 동안 연금 증액 극대화. 효율성 다소 하락
    27만원 최대 낮음 최대 증액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효율성은 낮음
30년 1년 9만원 매우 큼 높음 1년 납입으로 빠르게 증액. 짧은 기간에 고효율 증액
    18만원 매우 큼 중간 1년 납입으로 효율적으로 증액 가능
    27만원 매우 큼 중간 증액 효과 크지만 납입금이 커 효율은 낮음
30년 3년 9만원 매우 큼 높음 장기적으로 안정적 납입 효과. 증액과 효율 모두 높음
    18만원 매우 큼 높음 효율과 증액 모두 우수한 조합. 추천
    27만원 매우 큼 중간 효율은 낮지만 연금 증액 극대화 가능
30년 5년 9만원 매우 큼 중간 긴 기간 동안 안정적 증액. 효율성 약간 떨어짐
    18만원 매우 큼 중간 5년 동안 증액 효과 극대화, 효율성 감소
    27만원 최대 낮음 연금 증액이 극대화. 효율성은 최저임

3. 결론은?

임의가입 기간이 길고, 최고액 납입 시 연금 증액분이 가장 크나납입액 대비 효율성은 가장 낮음.

임의가입 기간이 짧고, 소액 납입은 효율성은 최고이지만, 증액분 절대치는 적음.

● 국민연금 가입 조건경제적인 여건에 따라, 납입 효율(수익률)을 고려하여 최적의 결정이 필요함. 

● 가입 결정 전에 PC나 모바일 앱으로 '예상연금 모의계산'을 통해 확인하거나,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를 방문하여 상담을 통해 자세한 안내를 받고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함(전화는 고객센터 국번없이 1355, 유료)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저축계좌 2개로 세마리 토끼잡기  (1) 2025.07.24
증여세 알아보기  (6) 2025.07.23
ISA계좌, 연금계좌 비교와 이전  (4) 2025.07.21
투자기간별 상품 구분  (2) 2025.07.19
국민연금 추납  (2) 2025.07.18